5

‘육신의 욕망’이 우리 감각의 무질서한 성향이라고 싸잡아 말할 수는 없습니다. 성적 욕구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성욕은 잘 관리되어야 하는 것이지, 그 자체가 나쁜 것은 결코 아닙니다. 성욕 또한 거룩해질 수 있는 고귀한 인간적 실체(實體)의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저는 불순함에 관해서가 아니라 ‘순결함’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이점을 주목해주십시오. 그리스도께서도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 (마태 5,8) 라고 우리 모두에게 말씀하시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거룩한 소명을 받아 결혼함으로써 이러한 순결의 삶을 살아가도록 하느님께 부르심을 받습니다. 또 다른 사람들은 모든 인간적 사랑에 앞서 오로지 하느님의 사랑에만 열정적으로 응답하도록 성소(聖召)를 받습니다. 관능의 노예가 되는 것과는 전혀 별개로, 결혼한 사람이거나 그렇지 않은 사람이거나 모두 스스로를 다른 사람에게 아낌없이 내어주기 위해 자신의 몸과 마음의 주인이 되어야 합니다.

‘순결’이라는 미덕에 관해 말할 때마다 저는 ‘거룩한 순결’이라는 단서를 달고 얘기합니다. 그리스도교의 순결, ‘거룩한 순결’은 스스로 “순결하다”고, “오염되지 않았다”고 자만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비록 하느님의 은총이 매일매일 적들의 위험으로부터 우리를 구해주시기는 하지만, 우리 자신들의 발이 흙투성이라는 사실을 먼저 깨달아야만 합니다. 제가 보기엔, 이 주제에만 국한해서 배타적으로 글을 쓰거나 강론하는 사람들은 그리스도교를 왜곡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리스도인들에게 매우 중요하고 우리네 사회생활에 있어서 굉장히 소중한 다른 미덕들을 망각하기 때문입니다.

‘거룩한 순결’이 그리스도교의 유일무이한 핵심 덕목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일상의 삶에서 성화(聖化)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려면 순결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우리가 순결하게 살지 못하면 사도직을 위한 헌신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순결은 사랑의 결과물입니다. 우리의 영혼과 육신, 능력과 감각을 그리스도께 온전히 맡기도록 이끌어주는 사랑의 결과가 바로 순결인 것입니다. 순결은 결코 부정적인 개념이 아닙니다. 그것은 기쁜 긍정입니다.

저는 앞서 ‘육신의 욕망’이 감각의 무질서한 성향이라고 싸잡아 말할 수는 없다고 얘기했습니다. 제가 말하는 ‘육신의 욕망(탐욕)’이란 가장 쉽고 쾌락적인 길에 탐닉하는 ‘굳세지 못함’, ‘나태함’을 의미합니다. 하느님의 뜻에 어긋나는 일이라 해도 개의치 않고, 누가 봐도 손쉬운 방법을 택하는 성향 말입니다.

이런 상태에 빠지는 것은 죄악의 오만한 동요 속으로 자기 자신을 완전히 빠뜨리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바로 이 점을 바오로 성인도 우리에게 경고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나는 법칙을 발견합니다. 내가 좋은 것을 하기를 바라는데도 악이 바로 내 곁에 있다는 것입니다. 나의 내적 인간은 하느님의 법을 두고 기뻐합니다. 그러나 내 지체 안에는 다른 법이 있어 내 이성의 법과 대결하고 있음을 나는 봅니다. 그 다른 법이 나를 내 지체 안에 있는 죄의 법에 사로잡히게 합니다. 나는 과연 비참한 인간입니다. 누가 이 죽음에 빠진 몸에서 나를 구해 줄 수 있습니까?” (로마 7, 21-24) 계속해서 바오로 사도의 대답을 들어봅시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느님의 은총으로…” (에페 1,3-14) 그렇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육신의 욕망을 이겨내기 위해 싸울 수 있고, 또한 그래야만 합니다. 만약 우리가 겸손하다면 우리에게 항상 주님의 은총이 주어질 것입니다.

다른 언어로 된 이 항